평정심을 유지하는 방법 공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평점심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평정심을 유지해야 하지만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요.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요즘 시기에 스트레스를 안받게 더 주의하셔야 합니다.
전염병이 돌땐 면역력이 중요한데요.
면역력은 스트레스로 인해서도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적당한 스트레스는 외부 환경이나 내부의 변화에 즉각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게 해주지만,
일상의 작은 스트레스가 지속이 되는 경우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어요.
스트레스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한스셀리의 '일반적응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리 몸이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단계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단계 - 경고기
스트레스에 대해 우리 몸의 자원은 총 동원해서 잘 방어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기에요.
스트레스에 대해서 우리 몸안의 내분비계, 스테로이드, 교감신경계가 적극적으로 활동해서 극복하려고 하죠.
2단계 - 저항기
긴장되는 상황, 위험한 상황이 계속되면서 교감신경계가 활발히 활동하려고 힘을 쏟지만,
몸이 지치기 시작해서 전닽이 몸이 민감하고 활달하게 반응하지 못합니다.
신경은 곤두서 있고, 집중력저하, 소화장애, 불면증 등의 건강 적신호가 시작됩니다.
3단계 - 소진기
소진기가 되면 몸안의 자원이 모두 떨어져 쉬어도 쉽거 같지 않고 힘을 내려고 해도 몸의 긴장도가 올라가지 않아요.
건강에 문제가 생겨서 여러 질환에 걸릴 수도 있어요.
따라서 몸과 마음을 춫분히 휴식을 취해주시고 스트레스 반응능력을 잘 관리해 주셔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관리가 쉽지 않죠.
하지만 쉽게 포기하진 마세요.
이겨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몸과 마음을 편하게 하시면서 복식호흡
명상을 규칙적으로 해주시고, 의식적으로 웃는 것을 생활화 하고
친구들과 수다를 떠는 등 감정 표현을 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 입니다.
*** 복식 호흡 하는 방법 ***
1. 먼저 눈을 감고, 편한 자세로 몸의 긴장을 풉니다.
2. 숨을 쉴 때 되도록 배만 오르내리면서 코로만 숨을 쉽니다.
3. 들이쉬면서 하나~ 내쉬면서 편하다를 속으로 말하면서 숨을 편안하게 쉽니다.
4. 하나에서 열까지 세고 거꾸로 열에서 하나까지 세신 후 눈을 뜹니다.